(아동 및 청소년, 성인 대상 개인상담, 부부상담, 가족상담)
주의력 및 과잉행동 문제(ADHD) 성향 :
• 가정, 유치원이나 학교, 일터에서 산만하고, 제 자리에 앉아 있기 어려운 분
• 부모 또는 교사, 상사의 지시사항을 듣지 않고, 자주 지적을 당하는 분
• 준비물을 자주 잊거나 숙제나 과제 등 해야할 일을 잊는 분
•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이기가 어려운 분
• 주의력문제로 자존감이 떨어진 분
• 감정조절 및 사람들과의 관계가 원만하지 않은 등 사회성문제가 있는 분
우울감 :
우울하고 매사 의욕이 없고 활력이 없는 분
가정불화로 인한 자녀문제 :
부부간의 잦은 싸움과 다툼으로 인해 상처 받은 자녀들의 문제
이혼 및 재혼 등으로 인한 가정문제 및 자녀양육문제
맞벌이 부모의 자녀양육문제 :
부모가 맞벌이를 하게 됨에 따라 발생한 자녀양육문제
취업 및 직장문제 :
취업 선택과 관련된 문제, 직장 내에서의 대인간 갈등, 이직고려 등의 문제로 고민하는 분. 직무스트레스
불면증 :
스트레스 혹은 불안으로 가위 눌리거나 숙면을 취하지 못해 수업시간 또는 직장에서 졸거나 자는 아동 및 청소년, 성인
자살사고 및 자살시도 :
자살하려는 뜻을 비추거나 자살시도를 한 아동 및 청소년, 성인
신체화 :
일반의학적 이유가 아닌 스트레스 혹은 불안으로 인한 두통, 생리통, 허리통증, 어깨결림, 소화불량, 복통 등 잔병으로 인한 잦은 결석 및 결근
가족문제 :
부부 및 가족 간의 의사소통 및 갈등문제
형제(남매, 자매)간의 지나친 경쟁심과 갈등문제 :
형제끼리 자주 다투고 갈등이 끊이지 않는 아동 및 청소년.
친구문제 :
• 친구를 사귀지 못하고 자기주장을 잘 못하는 아동 및 청소년
• 친구들로부터 따를 당하여 소외감을 느끼고 학교에 재미를 붙이지 못하는 아동 및 청소년
낮은 학업동기 :
학교공부에 재미를 느끼지 못하여 장래가 걱정되는 아동 및 청소년
인터넷 중독 :
인터넷 과다사용으로 학업 및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는 아동 및 청소년, 성인
학업 및 등교거부 :
학업 및 등교를 거부하는 아동 및 청소년
시험불안 :
시험에 임해서 마음껏 능력발휘를 못하거나 시험 전 혹은 시험당일 신체증세가 있는 아동 및 청소년
반항 :
부모나 교사에게 늘 불만을 표시하고 반항하는 아동 및 청소년
폭력문제 :
가족 및 주변인에게 폭력을 휘두르고 지나치게 공격적인 아동 및 청소년 또는 젊은 성인
품행문제 혹은 비행문제 :
• 학교나 사회의 도덕적 기준을 무시하는 아동 및 청소년
• 범법행위를 저지르고 다니는 아동 및 청소년
성문제 :
• 성폭행을 당했거나 성추행을 당한 아동, 청소년, 성인
• 성폭행, 성추행을 한 아동, 청소년
• 동성애로 혹은 성정체성 혼란으로 사회생활에 곤란을 겪는 청소년, 성인
학교폭력 :
학교폭력의 피해자 또는 가해자인 아동 및 청소년
진로 :
무엇을 해야 할지 장래에 대한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청소년, 성인
발달장애 및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:
• 눈맞춤이 안 되는 등 기본적인 사회성 문제
• 발달장애로 인해 언어발달이 안 되는 아동
• 반복적인 행동만 되풀이하거나 어느 한 가지 행동에만 집착하는 아동
공황장애 :
강렬한 공포나 불편과 함께 숨가쁨, 질식되는 느낌, 어지러움증, 죽음에 대한 두려움, 통제력 상실의 염려로 이상과 같은 일이 또 일어날까봐 유사한 상황을 회피하는 행동을 하는 분.
양극성 장애(조울증) :
병원에 외래환자로 조울증 약을 드시거나 혹은 약을 드시지 않더라도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감정의 기복이 심하여 고생하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는 분
정신증(조현증 등) :
병원에 외래환자로 조현증 약을 드시는 분으로, 일상생활에로의 재활이 필요하거나, 일상생활이 가능하더라도 학업, 직장, 가족관계, 대인관계 등의 문제로 상담이 필요한 분
대인공포 :
얼굴이 붉어지거나 떨림, 자신 혹은 다른 사람의 시선이나 냄새 등이 두려워 대인관계에 문제가 있는 분
주관적 안녕감 및 행복감 부재 :
현재 딱히 특별한 문제가 없어 보이는데도 왠지 행복하다는 느낌이 들지 않는 분.
스트레스관리 :
학업 및 가정, 직장 일로 스트레스 상황에 있는 분
이성 관계 및 배우자 선택 문제 :
• 이성과의 관계 및 연애문제.
• 배우자 선택과 관련된 갈등, 결정문제
* 문제에 따라서는 종합심리평가(4~5시간 걸림) 혹은 부분 심리평가(1~2시간 걸림)를 먼저 시행한 후, 상담 및 놀이치료(모래놀이치료 포함)에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.
* 또는 상담이나 놀이치료 진행 중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종합 심리평가 혹은 부분 심리평가를 추가로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.
* 아동 및 청소년인 경우는 부모 상담과 부모교육을 같이 할 수도 있습니다.
* 심리평가비용 및 부모상담 비용은 걸린 시간에 따라 발생합니다.
(10~20분정도의 짧은 부모상담은 비용청구를 하지 않습니다)
* 종합심리평가, 심리검사, 지능검사, 발달검사, 성격검사, 진로검사만 원하는 경우도 가능합니다.